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전기요금 계산기 활용방법

세상지구 2018. 12. 17. 10:14


전기요금 계산기 활용방법

최근들어 전기 요금 등 왜곡된 에너지 가격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습니다. 재생에너지 경쟁력 제고에 대한 대책 마련, 저기요금의 현실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고 합니다. 오늘은 추운 겨울철 난방기구 사용으로 인한 전기 요금 확인을 위한 전기요금 계산기 활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



전기 요금 은 계약종별로 주택용(저압), 주택용(고압), 일반용(갑)Ⅰ, 일반용(갑)Ⅱ, 일반용(을), 1주택 수 가구, 교육용(갑), 교육용(을), 산업용(갑), 산업용(갑)Ⅱ, 산업용(을), 임시(갑), 임시(을), 가로등(을), 심야전력(갑), 농사용(갑), 농사용(을) 으로 구별됩니다.






전기 요금 계산방법은 기본요금(원단위 미만 절사), 사용량요금(원단위 미만 절사), 전기요금계 = 기본요금 +사용량요금 - 복지할인, 부가가치세(원단위 미만 4사5입) = 전기요금계 × 10%, 전력산업기반기금(10원 미만 절사) = 전기요금계 × 3.7%, 청구요금 합계(10원 미만 절사) = 전기요금계 + 부가가치세 + 전력산업기반기금 입니다.







전기요금 계산기 이용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에 따라 전기 저압과 고압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고압이 저압에 비해 전기 요금 이 약 20%정도 저렴합니다.

  


겨울철 난방기구 사용으로 인한 전기 사용량 증가로 인한 청구 전기 요금 이 증가하는데 전기요금 계산기 이용한 전기 요금 계산으로 조금이라도 전기 사용량을 절약하여 슬기롭게 겨울철을 보내시기 바랍니다.   전기 요금 계산기 바로가기



댓글